언어검사
연령과 특성에 따라 개인의 언어이해 및 표현 능력, 의사소통 기능, 발음과 유창성, 문장 구성력과 화용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언어는 단순한 말하기를 넘어, 이해하고, 표현하고, 사회적으로 소통하는 능력 전반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언어검사는 영유아부터 학령기 아동, 청소년, 성인에 이르기까지, 각 연령과 특성에 맞는 표준화된 도구를 사용하여 현재의 언어 기능 수준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필요 시 중재 방향을 제시합니다.
언어검사가 필요한 경우
- 말을 늦게 시작했거나, 언어 발달이 또래보다 느린 경우
- 질문에 대한 반응이 부족하거나, 말은 하지만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 단어를 알고 있지만 문장 표현이 어색하거나 짧은 경우
- 발음이 부정확해 의사 전달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 상황에 맞지 않는 말이나 사회적 언어 사용이 어려운 경우
- 학령기 이후에도 읽기·쓰기·이야기 구성 등 언어 기반 학습에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
- 성인기 의사소통 문제나 신경학적 원인(예: 뇌졸중 후 언어문제 등)이 의심되는 경우
언어검사 구성
평가영역 | 검사 | 목적 |
전반적인 언어발달 | ·영유아언어발달검사(SELSI)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 학령기 아동언어평가(LSSC) | ·연령에 따른 전반적인 언어 이해 및 표현 능력 평가 |
어휘 | 수용및표현어휘력검사(REVT) 한국판 맥아도-베이츠 의사소통발달평가(K-M-B-CDI_ | 어휘 이해 및 표현 능력 수준 파악, 어휘 발달 지연 여부 확인 |
구문 | 구문의미 이해력검사 | 문장 이해 및 복잡한 문장 구조 해석 능력 평가 |
화용 | 언어문제해결력검사 한국 아동 메타-화용언어검사(KOPLAC) 한국어이야기평가(KONA) | 담화 구성 능력, 상황에 맞는 언어 사용, 문제해결 언어 능력 평가 |
조음음운 | 우리말조음음운평가(U-TAP1/2) 조음기관 구조.기능 선별검사(SMST) | 조음 정확도, 음운 오류 유형 및 발음 구조 분석 |
유창성 | 파라다이스-유창성검사(P-FA-2) | 말더듬, 속도 문제 등 유창성 문제의 정도 및 유형 확인 |
읽기 | 아동 간편 읽기 및 쓰기 발달 검사(QRW) 한국어읽기검사(KOLRA) | 읽기 및 쓰기 능력 발달 수준 확인, 학령기 문해력 평가 |
안녕언어심리연구소에서는 연령별·기능별 언어검사 도구를 적절히 조합하여개인의 특성에 맞춘 맞춤형 평가를 진행합니다.
단순한 지연 판별을 넘어, 중재 목표 수립과 장기 계획 수립에 기반이 되는 정확한 평가를 제공합니다.